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 1
메인2
메인3
메인4
메인5

자연과 함께하는
수도산자연휴양림

  • 시설문의
    [시설문의] 054-421-1646
    이용시간
    [일일개장] 15시 ~ 20시
  • 숲나들e 통합고객센터
    [숲나들e 통합고객센터] 1588-3250
    숙박시설
    [숙박시설] 34개 [부대시설] 4개
  • 휴무일
    [휴무일] 정보없음
    주소
    [주소] 경북 김천시 대덕면 증산로 326-71 수도산자연휴양림
경북 김천시
여행정보 경북 김천시

경상북도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구미시, 서쪽은 소백산맥을 경계로 충청북도 영동군과 전라북도 무주군, 남쪽은 성주군과 경상남도 거창군, 북쪽은 상주시와 접하고 있어 3개도와 경계를 이룬다. 전체 면적은 1,009.5㎢ 이며 총인구가 134,500명(2014년 9월 기준)에 이른다. 1읍 14면 6동 473리.통으로 되어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신음동이다. * 자연환경 시의 북동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쪽에는 소백산맥줄기를 따라 추풍령, 황악산, 삼도봉, 대덕산 등의 높은 산이 솟아있으며, 삼도봉은 충북, 전북, 경북의 경계가 되고 있다. 남쪽에는 대덕산에서 갈라져 나온 가야산맥이 뻗어있고, 동쪽에는 금오산이 솟아 구미시와의 경계를 이룬다. 황악산에서 발원한 직지천과 대덕산 우두령에서 발원한 감천이 주요 하천이다. * 역사 고대 - 삼한시대 무렵 이 지역에 성립되었던 감문국은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557년(진흥황18) 감무주가 되었다가 661년(문무왕1)에 금물현, 김산현, 지품천현, 무산현 등을 거느리게 되었다. 757년(경덕왕16) 감문군은 개령군, 금물현은 어모현, 지품 천현은 지례현, 무산현은 무풍현으로 각각 개명되었다. 고려 - 고려의 재통일 이후 개령군의 속현이던 무풍현이 전라도 진례현의 속읍으로 되었고, 김산, 지례 두 현은 경산부의 속읍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현종 때의 지방제 도가 전면 조정되어 1018년(현종9) 개령군과 어모현이 상주목에 내속되었다. 조선 - 건국 이후 김산군으로 승격되면서 어모현을 폐합하였다. 1413년(태종13) 개령군은 개령현으로 강등되어 현감이 파견되었고 지례현에도 현감이 파견되었다. 근대 - 1895년 김산군, 개령현, 지례현은 모두 군으로 되어 대구부에 속하였고, 이듬해 13도제가 실시되면서 경상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개령군, 김산군, 지례군을 통폐합하여 김천군으로 삼았고, 김천군의 군청 소재지인 김천면이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면서, 1931년 김천읍으로 승격되어 김천시의 기틀을 이루게 되었다. 현대 - 1949년 김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김천군의 나머지 지역이 금릉군으로 개칭되어 15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 금릉군과 김천시가 통합되면서 김천시로 되었다. * 문화 문화제 - 김천문화제는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김천시의 향토문화행사이다. 1957년 10월 김천문화관(현재의 김천문화원) 주관으로 제 1회 행사를 가졌으며 주요 행사는 시조 및 민요 경창대회, 문예행사, 각종 민속경기 및 농악 경연 등이 있다. 민속 - 농악과 줄다리기, 지신밟기, 연날리기, 호미걸이 등이 있다. 개령면 빗내마을에서 전래되어온 농악은 전쟁에서 유래한 경상도 특유의 진굿농악으로 12가락의 굿판이 명확한 차이를 가지면서 마치(잔가락)의 종류로 다양하게 전개된다. 음력 1월 6일에 행해지며, 인원제한 없이 노소를 불문하고 놀이에 가담하나 보통 한 가구당 한명씩 참가하여 놀이가 구성된다. 한편 지신밟기는 정월 보름에 행하는 농민들의 가장행렬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이다. 동제- 남면과 개령면에서는 3월과 9월에 마을이나 시장에서 주최하는 별신제를 지낸다. 봄에는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빌고, 가을에는 풍년에 대한 감사와 마을의 번영을 기원하는데, 3∼5일 동안 마을의 광장이나 시장에서 행해진다.

여행정보 더보기
알림판
슬라이드 멈춤 슬라이드 시작
찾아오시는길

경북 김천시 대덕면 증산로 326-71 수도산자연휴양림

찾아오시는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