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봄3
봄1
봄2

관광 명소가 많아 사계절 이용 가능한
산림청 국립낙안민속자연휴양림

  • 시설문의
    [시설문의] 061-754-4400
    이용시간
    [일일개장] 09시 ~ 18시
  • 숲나들e 통합고객센터
    [숲나들e 통합고객센터] 1588-3250
    숙박시설
    [숙박시설] 23개 [프로그램] 17개
  • 휴무일
    [휴무일] 매주 화요일
    주소
    [주소] 전남 순천시 낙안면 민속마을길 1600
천축사(순천)
여행정보 천축사(순천)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창건되었다. 의상(義湘)스님이 문도들을 이끌고 만장봉 동쪽 기슭에 왔다가 그 산세의 빼어남에 감탄하여 현재의 위치에 창건하게 하고 옥천암(玉泉庵)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 뒤 고려 명종 때에는 근처 영국사(寧國寺)의 부속암자가 되었다. 조선 태조 7년(1398) 함흥으로 갔다가 돌아오던 태조가 옛날 이곳에서 기도하던 기억을 상기하고 절을 중창하였으며, 천축사(天竺寺) 현판을 하사하였다. 절 이름을 천축사라고 한 것은 고려 때 호승(胡僧) 지공화상이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화상에게 이곳의 경관이 인도 천축국의 영축산과 비슷하다고 한데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성종 5년(1474) 어명으로 중창되었고, 명종 때에는 문정왕후가 화류용상(樺榴龍床)을 헌납하여 불좌를 만들었다고 한다. 순조 12년(1812) 이후 영험 있는 기도 도량으로 여러 차례 중창되었는데 현재의 당우는 1959년에 중수한 것이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원통전 · 독성각 · 산신각 · 요사 등이 있고, 참선도량 무문관이 있다. 무문관은 불교 선수행의 현근대적 역사에 기록될 근대 선수행의 얼이 숨어 있는 기념비적인 수행처이다. 천축사는 역사적 기록과 현대의 불교계에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적멸보궁으로, 보존되고 개발되어야 할 전통사찰이자 천 년 고찰이다.

여행정보 더보기
알림판
슬라이드 멈춤 슬라이드 시작
찾아오시는길

전남 순천시 낙안면 민속마을길 1600

찾아오시는길 더보기